OSI Model 7 계층
OSI 계층을 나누는 이유
각자의 역할을 잘 분배해서 해당기능만을 담당하고, 유지보수등에 용이하게?? 아몰랑
OSI Layer
Layer 1 (Physical Layer) 물리 계층
물리적 연결 방법등의 기술적 표준을 정의
비트 스트림, 매체 (UTP,STP,Fiber 등)
Layer 2 (Data-link Layer) 데이터 링크 계층
인접한 노드간의 연결을 정의함.
Point-to-Point간 신뢰성 있는 전송 보장
대표적으로 Ethernet II 표준이 이곳에 존재 -> Ethernet II Frame (PDU)
주소부여 -> MAC Address
대표적 장비 : 허브, 스위치 허브 (L2 Switch)
Data-Link SubLayer
- Media Access Control SubLayer
하위 계층 물리적 접근과의 통신방법을 제어 - Logical Layer Control
상위 계층 네트워크와의 통신방법을 제어
근데 Ethernet II 프레임에 MAC주소랑 상위프로토콜ID가 있어서 둘 다의 기능을 함
이것저것 복잡한데 지금은 거의 Ethernet 인듯.
Layer 2.5 : ARP
Layer 3 (Network Layer) 네트워크 계층
여러 노드르 거칠 때의 경로를 설정
Network Layer에는 IP 프로토콜을 사용 -> IPv4 프로토콜 OR IPv6 프로토콜
PDU -> Packet
대표적인 장비 : 라우터, L3 Switch, NAT Router/Home Router (인터넷 공유기)
주소부여 -> IP
경로설정, 주소부여 (IP)
Layer 3.5 : ICMP,IGMP
- ICMP : IP 및 4계층에 대한 통신 피드백 제공
- IGMP : 멀티캐스트 그룹을 구성하는 프로토콜
Layer 4 (Transport Layer) 전송 계층
PDU -> Segment
주소부여 -> Port
대표적인 프로토콜 -> TCP
종단(peer)간 신뢰성있는 전송 제공 -> UDP는 신뢰성??
장비 : L4 Switch = Application Load Balancer
주로 Port는 프로세스별 고유함
Layer 5 (Session Layer) 세션 계층
(TCP/IP Model에서는 Application Layer로 봄)
세션을 성립 ?? (세션은 TCP에서 하는데요)
종단(peer)간 프로세스에서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 -> 전이중, 반이중 등.
연결 종료, 다시 시작과정등을 수행 (아니 그니까 이게 TCP에서 하는데;)
주로 운영체제에서 담당해주는데,
어떤 사람의 해석으로는 운영체제의 Socket API 가 여기에 속한다고 함. -> 아닌거같음
주가 되는 프로토콜 : NetBIOS, SMB
그냥 해석하길 포기.
Layer 6 (Presentation Layer) 표현 계층
(TCP/IP Model에서는 Application Layer로 봄)
데이터의 인코딩, 암호화등 데이터의 표현할 방법을 정의
대표적인 프로토콜 : SSL/TLS
Layer 7 (Application Layer) 응용 계층
어플리케이션.
대표적인 프로토콜 : HTTP FTP SMTP DHCP BOOTP SSH IMAP POP3 …